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Beijing Capital International Airport / 北京首都国际机场)
중국 대륙 제일의 규모와 교통량을 자랑하며 중국 내 1위였던 홍콩 국제공항을 뛰어넘어 중국 제1의 공항입니다. 베이징 다싱 공항과 베이징의 대표적인 공항입니다.
역사
1958년 3월 2일에 개항하였습니다. 베이징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25㎞ 떨어져 있으며, 국영 기업인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유한공사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을 기점으로 하여 120여 개 도시를 연결하는 중화인민공화국 제1의 항공사인 중국 국제항공의 메인 허브 공항이며, 하이난 항공과 중국남방항공은 이 공항을 지역 허브로 삼고 있습니다. 이 공항은 2000년대에 공항 교통량 세계 순위가 가파르게 상승했습니다. 2001년 이용객은 2천418만 명으로 세계 30위를 밑돌았으나, 2005년 이용객 수 기준으로 홍콩 첵랍콕 국제공항을 제치고 아시아 2위, 세계 14위를 기록하였습니다. 2008년에는 이용객 수가 5천594만 명으로 세계 8위, 화물 처리량이 136만5,768 톤으로 세계 18위에 올랐습니다. 2009년 이용객 수 6천533만 명으로 일본의 하네다 국제공항을 제치고 아시아 1위, 세계 3위 공항이 되었고, 2010년에는 이용객 수 7천389만 명으로 전 세계 2위 공항이 되었습니다. 이 공항의 활주로 용량 한계는 연간 항공기 이착륙 수 62만 회(연간 이용객수 1억 명)인데, 공항의 과밀화가 심하기 때문에 중국민용항공국(CAAC)은 신규 취항을 상당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공항코드
IATA : PEK / ICO : ZBAA 입니다.
제1터미널
1980년 새해에 개항한 터미널로 당시에는 유일한 터미널이었으며 베이징에서는 보통 제1공항(第一机场)이라고 하며 제2터미널과 이어져 있으며 무빙워크 등을 이용할수 있습니다.제1터미널은 하이난항공 계열사들의 전용 국내선 터미널입니다. 이 터미널을 이용하는 항공사는 중국해남항공, 톈진 항공, 그랜드 차이나 항공, 베이징 캐피탈 항공, 럭키 항공 다섯 개 항공사로 모두 하이난항공그룹 계열사입니다.
제2터미널
제2공항(第二机场)이라고 하며 1999년 11월에 개항한 터미널로 일본 정부의 ODA를 투자하여 건설했습니다. 제1터미널과는 달리 국제선과 국내선이 전부 취항합니다. 스카이팀 전용 터미널인데 스카이팀 외에도 일부 저가 항공사가 취항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스카이팀의 대한항공이 제2터미널에 취항 중입니다. 북한의 고려항공도 제2터미널을 이용합니다.2019년 베이징 남부 다싱구에 건설중인 베이징 다싱 국제공항이 완공될 경우 제2터미널에 취항중인 스카이팀 항공사들은 중국민용항공국의 계획에 따라 신공항으로 전부 이전하게 됩니다. 중국남방항공이 2019년 1월 1일부로 스카이팀 탈퇴를 발표하였으나 중국남방항공의 경우 건설비 투자도 하였고, 베이징 본사를 신공항으로 이전 예정입니다.
제3터미널
제3공항(第三机场)이라고 하며2008 베이징 올림픽으로 개장한 터미널로 2008년 2월 29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보다도 면적이 넓으며 두바이 국제공항의 제3터미널 다음으로 큰 세계 2위 규모의 공항 터미널입니다. 3C, 3D, 3E 탑승동으로 나뉜다. A와 B가 없는 것은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있기 때문입니다. 3C 탑승동은 국내선용, 3E 탑승동은 국제선용이며 3D 탑승동은 베이징 올림픽 전세편 전용 홀이었습니다. 올림픽 이후 3D 탑승동은 중국국제항공의 국내선 전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3E 탑승동은 스타얼라이언스, 원월드 전용 터미널. 3C 탑승동은 중국국제항공 계열사들과 대형 민항 3사에 속하지 않는 회사들이 들어와 있습니다.
교통
공항철도(地铁)
베이징 지하철의 베이신차오역, 둥즈먼역, 싼위안차오역을 거쳐 공항으로 가는 베이징 지하철 수도공항선이 있습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맞아 개통된 열차로, 편도로 16~20분 가량 소모되며 배차 간격은 10~12분입니다. 내부는 쾌적한 편이지만 요금이 일반 지하철에 비해서 비싼게 단점입니다.
공항버스(机场巴士)
수도 공항에서 운영하는 셔틀 버스가 있습니다. 중관춘, 베이징역 등 베이징의 주요 지점을 잇는 버스이며, 톈진시 등 타 도시로 갈 수 있는 버스도 있습니다. 베이징 시내버스가 8개, 톈진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가 1개 노선을 갖추고 있습니다. 운행 간격은 공항버스 중 2~4번 버스가 15분, 나머지 버스는 전부 30분입니다.
택시(出租车)
택시를 타고 공항까지 갈 수 있는데, 이때 공항 고속도로(机场高速)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래 요금에 톨게이트 통과 요금인 5~10위안을 더해서 줘야 합니다.
디디추싱(滴滴出行)
중국에서 운행하는 우버식 어플리케이션 기반 운송 네트워크 서비스. 가격이 택시에 비해 시간에 따라, 탑승 조건에 따라 1/2 ~ 3/4 수준이며 위챗페이나 알리페이를 연동하여 자동 결재가 가능합니다.
'공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탈리아 밀라노 말펜사 공항 (MXP) (0) | 2023.11.22 |
---|---|
카타르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DOH) (0) | 2023.11.21 |
이탈리아 로마 레오나르도 다 빈치 국제공항 (FCO) (0) | 2023.11.18 |
스페인 마드리드 바라하스 국제공항(MAD) (0) | 2023.11.17 |
영국 맨체스터 국제 공항 (MAN) (0) | 2023.11.16 |